아무리 작다고 할지라도 퇴직금은 소중합니다.
근무를 한지 1년이 넘어가면 받을 수 있게 되는 게 바로 퇴직금입니다. 퇴직금은 1년마다 30일치의 임금을 받을 수 있도록 되어있는데요. 만약 10년을 일했다면 10달의 월급을 받을 수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퇴직금은 퇴직 후 노후를 준비해야하는 분들이나 아니면 일을 잠시 쉴 분들, 이직을 하는 분들 모두에게 소중한 돈입니다. 최소 한달치 월급을 받는 것이기 때문에 잘 챙겨야하는데요. 소규모 사업장이나 상황이 불안정한 사업장일 경우, 직원이 퇴사했을 때 발생하는 큰 지불 비용에 휘청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저런 핑계를 대며 퇴직금을 미지급하는 곳들도 적지 않은데요. 오늘은 퇴직금을 연체하는 곳이 있을 때, 신고하는 방법에 대해 얘기해보고자 합니다. 퇴직금의 금액이 적든 많든, 어쨌든 본인이 회사에 근무하며 열심히 쌓아온 본인의 자산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꼭 지불 받기를 바라며 이 글을 씁니다.
[퇴직금 연체 신고는 어떻게 하나요? 온라인으로 바로 해결해보세요!]
퇴직금 연체 신고는 온라인으로도 가능합니다. 우선 고용노동부에 들어가서 민원바로가기를 눌러줍니다.
http://www.moel.go.kr/index.do
그럼 아래 이미지처럼 민원마당 바로가기를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여기서 민원마당 바로가기를 눌러주시고, 로그인을 해주세요. 그리고 자주 신청하는 민원 부분에서 임금 체불을 꾹 눌러주세요. 퇴직금도 임금이기 때문에 이를 미납하면 임금 체불이 됩니다. 퇴직금 지급 기한은 퇴직일로부터 14일 이내입니다. 사업주와 근무자(였던) 둘이 서로 협으리ㅡㄹ 해서 늦게 준다면 문제가 없지만 일방적으로 사업자쪽에서 임을을 안 주는 것은 임금체불에 해당합니다.
그럼 아래 화면과 같이 신고할 수 있는 절차가 나옵니다. 여기서 피진정인은 사업주 (=퇴직금을 안 주고 있는 사람이 됩니다.) 내용을 정확하게 기재한 후에 넣어주시면 고용노동부에서 조치를 취해주실 겁니다.
세금까지 계산해주는 퇴직금 계산기~!
어떤 돈을 받든지, 중요한 것은 세금입니다. 퇴직금도 세금을 적지 않게 가져가는데요. 네이버에 퇴직금 계산기를 검색하면 위의 이미지와 같이 나올 것입니다. 보이는 것과 같이 입사일과 퇴직일을 적고, 3개월간 급여 받았던 것을 모두 합한 금액, 최근 1년간 받았던 인센티브나 성과금 총액, 연차수당들을 적어주시면 됩니다. 회사에 따라서 퇴직금 계산에 들어가지 않는 인센이나 성과금도 있으니 계산기가 완전히 정확하진 않다고 생각하시는 게 편합니다.
그래서 저는 개인적으로는 아래 사이트에서 퇴직금 계산기를 사용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퇴직금 세금도 함께 대략적으로 계산해주는 사이트인데요. 찾아줘 세무사라는 사이트입니다.
https://www.findsemusa.com/service/taxcal/ResignTaxCalc.do
네이버 퇴직금 계산기와 동일한 항목을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여기서는 세금도 함께 계산을 해주어서 네이버 퇴직금 계산기보다 정확도가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세전 퇴직금과 세후 퇴직금, 그리고 원천세 같은 것도 산출해주기 때문에 훨씬 이해하기가 쉽습니다.
정보를 모두 입력해주시면 아래와 같이 세전/세후로 나누어 퇴직금을 계산해줍니다. 물론 이마저도 완전히 정확한 정보는 아닙니다. 그저 참고용으로만 생각해주시면 좋습니다.
'잡학다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한 관리비 자동납부 해지방법 & 조회방법 (0) | 2021.10.01 |
---|---|
iptime 비밀번호 변경 & 찾기 방법! 아주 쉽습니다. (0) | 2021.09.30 |
지메일 수신 확인 방법 & 지메일 발송 취소 시간 연장 방법 (0) | 2021.09.29 |
보건증 인터넷 재발급 방법 - 음식점, 카페 알바할 땐 필수! (0) | 2021.09.27 |
유심칩 인식 안됨 & 유심칩 빼는법 (0) | 2021.09.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