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과 밤의 기온차가 심해지고 비가 내린 후 날씨가 갑자기 더워지면 에어컨과 선풍기를 사용하여 무더위를 식힙니다. 하지만 찬바람을 계속 맞으면 발열, 두통, 설사 등 냉방병에 걸릴 수 있으며 냉방병의 증상과 원인, 치료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냉방병이란?
바이러스나 세균이 아닌 체온 조절 장애로 인해 발생합니다. 평소 몸이 차갑고 혈액순환이 잘 안 되면 한여름에도 손발이 차고 소화기능이 약한 사람에게 더 쉽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냉방병 증상
뇌로 가는 혈류가 감소하면 두통이 발생하여 어지럽고 졸릴 수 있습니다. 또한 장운동의 변화로 소화불량, 복통, 설사 등 다양한 위장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불균형한 근육 수축은 근육통을 유발할 수 있고 여성의 경우 호르몬 이상으로 월경이 불규칙해질 수 있습니다. 얼굴, 손, 발이 차갑게 느껴지거나 얼굴이 뜨거워지거나 심장이 두근거리고 몸은 열을 보충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열을 발생시키므로 쉽게 피로해지고 열이 오르거나 감기와 비슷하게 보이기 때문에 가볍게 여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더불어 식욕부진, 구토, 설사 등이 나타나며 심한 경우 의식을 잃기도 합니다.
냉방병 원인
찬바람에 의한 냉자극과 신체의 온도 조절 기능의 균형이 깨졌을 때 발생합니다. 추운 곳에서 갑자기 더위가 높아지는 곳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에어컨의 온도, 바람의 세기, 습도의 영향도 많이 받습니다. 냉방병 증상이 보이면 바람이 없는 곳에서 휴식을 취하고 체온을 안정시켜야 하고 대부분의 경우 환경을 개선하면 좋아지지만 일상생활이 불편한 경우에는 약물 치료가 도움이 됩니다. 발열, 기침, 근육통 등이 심하다면 유사한 레지오넬라증일 수 있으니 정확히 알아보셔야 합니다.
냉방병 예방 수칙
냉방병은 치료보다 예방이 더 중요합니다. 에어컨과 같은 찬 바람원을 멀리하고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십시오. 온도, 풍속, 습도 등을 적절히 조절하고 에어컨과 히터의 온도차를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활성 수분 공급으로 신체 수준이 충분한지 확인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실내외 온도차는 5도 이내로 유지하며 외부 온도가 23도일 때 1도 낮고, 26~27도일 때 2도 낮습니다. 28~29도일 때는 3도 낮추는 것이 좋고 적정 실내 온도는 26~28도가 적당하며, 얇은 외투를 지참하고 바람의 방향을 조절하고 따뜻한 생강차나 쌍화차나 물로 몸을 녹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뜨겁고 차가운 음식과 음료를 너무 많이 먹으면 몸의 수분량이 증가하여 냉방병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에어컨 사용 후에는 환기를 잘 시키고, 필터를 자주 청소하고, 비타민C가 풍부한 과일이나 채소를 섭취하고, 적절한 운동과 스트레칭을 하여 면역력 강화에 도움을 주시면 좋습니다. 스트레스는 자율신경계의 균형을 해치고 면역체계를 저하시킨다. 따뜻한 목욕, 충분한 수면과 호흡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것이 좋습니다.
'잡학다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탈모에 좋은 음식 및 탈모를 일으키는 습관 (0) | 2023.06.18 |
---|---|
비파 효능과 부작용 (0) | 2023.06.17 |
홍시 효능 확인하기 (0) | 2023.06.15 |
초당옥수수 고르는 방법 및 찌는 법 (0) | 2023.06.15 |
발인 뜻 및 장례식 예절 (0) | 2023.06.13 |
댓글